SS-082 신돌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S-082 신돌석함은 대한민국 해군 소속의 잠수함으로, 대한제국 평민 출신 의병장 신돌석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2017년 현대중공업에서 진수되어 2020년 취역했으며, 533mm 어뢰 발사관 8문과 공기불요장치(AIP)를 탑재하여 2주간 수중 작전이 가능하다. 대함전, 대잠수함전, 공격기뢰 부설 임무를 수행하며, 사거리 1,000km의 해성-3 순항 미사일을 탑재한다. 2022년에는 환태평양 훈련(RIMPAC 2022)에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7년 선박 - FFG-818 대구
대구급 호위함 1번함인 FFG-818 대구는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며 울산급과 포항급을 대체하기 위해 건조되었고, SPS-550K 3차원 레이다, 해궁 미사일, 홍상어 어뢰 등을 탑재했으며, 대한민국 해군 수상함 최초로 CODLOG 방식의 하이브리드 추진체계를 채택한 것이 특징이다. - 2017년 선박 - HMS 프린스 오브 웨일스 (R09)
HMS 프린스 오브 웨일스 (R09)는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으로, F-35B 전투기를 탑재하고 영국 해군에서 운용하며, 2019년에 취역하여 NATO 지휘함 임무를 수행하고 무인 항공기 운용 시험을 진행했다. - 잠수함 - 원자력 잠수함
원자력 잠수함은 원자로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며, 장기간 잠항 능력과 강력한 공격력을 갖춘 해양 전력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했지만, 스텔스 성능 저하, 핵폐기물 문제, 사고 가능성 등의 과제를 안고 국제 정세 변화에 따라 전략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 잠수함 - 공기 불요 추진
공기 불요 추진은 재래식 잠수함이 스노클 없이 수중에서 추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초기에는 연료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다양한 방식의 AIP가 개발되어 잠수함의 잠항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 SS-082 신돌석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함명 | *신돌석*(sin dol-seok) |
| 함명 유래 | 신돌석 |
| 함번 | SS-082 |
| 함 종류 | 잠수함 |
| 함급 | 손원일급 잠수함 |
| 제원 | |
| 배수량 | *수상: |
| 추진 방식 | 디젤-전기, 연료 전지 AIP, 저소음 스큐백 프로펠러 |
| 속력 | *수상: |
| 항속 거리 | *수상: |
| 작전 지속 기간 | 84일 |
| 시험 심도 | 거의 |
| 승조원 | 5명의 장교 + 22명의 승무원 |
| 센서 및 전자전 장비 | |
| 센서 | (정보 없음) |
| 전자전 장비 | (정보 없음) |
| 무장 | |
| 어뢰 발사관 | 8 × 어뢰 튜브 |
| 미사일 | 4 × Sub-Harpoon 미사일 발사 가능 |
| 건조 및 배치 | |
| 건조사 | DSME |
| 기공 | 2013년 |
| 진수 | 2017년 9월 7일 |
| 인수 | 2019년 12월 17일 |
| 취역 | 2020년 1월 31일 |
| 상태 | 현역 |
2. 역사
신돌석 장군은 대한제국 최초의 평민 출신 의병장이다.[5] 신돌석함은 길이 65m, 너비 6.3m으로, 물속에서 최대 20노트(시속 37㎞) 속력으로 기동할 수 있다. 대함전, 대잠수함전, 공격기뢰 부설 임무 등을 수행하며, 적의 핵심시설에 대한 장거리 정밀 타격이 가능한 사거리 1,000㎞ 국산 순항미사일 해성-3을 탑재한다.[5]
533mm 어뢰 발사관 8개를 갖추고 있으며 이 중 4개는 서브하푼 발사용이다. 잠수함 내부 무기고엔 어뢰 16발을 적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공기불요장비(AIP)를 탑재해 한 번 잠수하면 2주간 수중에서 작전할 수 있다. 이는 2~3일에 한 번씩 수상으로 올라와 배터리 충전을 해야 하는 209급 잠수함보다 잠항 시간이 훨씬 길어, 그만큼 은밀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5] 항속거리는 19000km로 급유없이 부산에서 하와이까지 왕복이 가능하다.
2022년 5월, 대한민국 해군은 ''신돌석''과 독도급 대형수송함 ROKS ''마라도'' LPH-6112가 RIMPAC 2022에 참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
2. 1. 건조 및 진수
2017년 9월 7일, 울산 현대중공업 특수선사업부에서 신돌석함 진수식이 열렸다. 엄현성 해군참모총장, 강환구 현대중공업 사장 등이 참석했다.[5] 해군 소속의 ''신돌석''은 같은 날 현대중공업에서 진수되었으며 2020년 1월 31일 취역했다.[2]2. 2. 취역
신돌석함은 마무리 작업과 해상작전 운용시험 등을 거쳐 2018년 12월 해군에 인도되었고, 2020년 1월 31일 대한민국 해군(ROKN)에 취역했다.[2][5]3. 설계 및 성능
신돌석함은 손원일급 잠수함의 9번함으로, 장보고급 잠수함에 비해 향상된 성능을 갖추고 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손원일''함은 533mm 어뢰 발사관 8기를 갖추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사거리 500km의 한국형 토마호크 미사일인 현무-3 탑재를 고려했었다. 사거리 1000km 및 1500km 버전도 개발 중이라고 알려졌지만, 533mm 어뢰 발사관과의 호환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미국의 토마호크 미사일은 533mm 어뢰 발사관에서 발사되도록 설계되었으며, 한국은 천룡 미사일 국산화에 성공하여 ''손원일''급에 실전 배치하여 운용 중이다.[1]
3. 1. 주요 제원
SS-082 신돌석함은 길이 65m, 너비 6.3m이며, 최대 속력은 37km/h (20kn)이다. 항속거리는 19000km로 연료 보급 없이 부산에서 하와이까지 왕복할 수 있다. 대함전, 대잠수함전, 공격 기뢰 부설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사거리 1000km인 국산 순항 미사일 해성-3을 탑재하여 적 핵심 시설을 장거리에서 정밀 타격할 수 있다.[5]533mm 어뢰 발사관 8개를 갖추고 있고, 이 중 4개는 서브하푼 발사용이다. 잠수함 내부 무기고에는 어뢰 16발을 적재할 수 있다. 공기불요장비(AIP)를 탑재하여 한 번 잠수하면 2주간 수중 작전이 가능하며, 이는 2~3일에 한 번씩 부상하여 배터리를 충전해야 하는 209급 잠수함보다 긴 잠항 시간이다.[5]
3. 2. 무장
신돌석함은 533mm 어뢰 발사관 8개를 갖추고 있으며, 이 중 4개는 서브하푼 발사용이다. 잠수함 내부 무기고엔 어뢰 16발을 적재할 수 있다.[5] 또한, 적의 핵심시설에 대한 장거리 정밀 타격이 가능한 사거리 1,000㎞ 국산 순항미사일 해성-3을 탑재한다.손원일급(214형)을 수출한 독일은 동일한 배수량에 동일한 AIP 시스템을 사용하는 212형 잠수함을 운용하고 있다. 212형 잠수함은 사거리가 20km이며, 533mm 어뢰 발사관 4기를 장착하여 공중, 수상, 수중 표적에 대응할 수 있다.
3. 3. 잠항 능력
신돌석함은 공기불요장비(AIP)를 탑재해 한 번 잠수하면 2주간 수중에서 작전할 수 있다. 이는 2~3일에 한 번씩 수상으로 올라와 배터리 충전을 해야 하는 209급보다 잠항 시간이 훨씬 길다는 의미이며, 그만큼 은밀한 작전을 많이 수행할 수 있다.[5]4. 작전 운용
대한민국 해군 소속 신돌석함은 2017년 9월 7일 현대중공업에서 진수되었고, 2020년 1월 31일에 취역했다.[2] 해성-3 순항 미사일을 탑재하여 대함전, 대잠수함전, 공격 기뢰 부설, 적 핵심 시설 장거리 정밀 타격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2022년에는 RIMPAC 2022에 참가했다.[3]
4. 1. 주요 임무
신돌석함은 대함전, 대잠수함전, 공격 기뢰 부설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적 핵심 시설에 대한 장거리 정밀 타격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사거리 1,000㎞의 국산 순항미사일 해성-3을 탑재하고 있다.[5]4. 2. 훈련 참가
2022년 5월, 대한민국 해군은 ''신돌석''과 독도급 대형수송함 ROKS ''마라도''가 2022년 환태평양 훈련(RIMPAC 2022)에 참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5. 함명의 유래
신돌석함의 함명은 대한제국 최초의 평민 출신 의병장인 신돌석 장군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5]
5. 1. 신돌석 장군
신돌석 장군은 대한제국 최초의 평민 출신 의병장이다.[5]참조
[1]
웹사이트
"[단독] 국산 잠대지 미사일 서해 배치...사거리 300km"
https://news.naver.c[...]
2021-07-11
[2]
웹사이트
해군, 첫 평민 의병장 함명 '신돌석함' 진수식 거행
https://news.joins.c[...]
2021-07-11
[3]
웹사이트
South Korea to deploy its largest vessel to RIMPAC 2022
https://www.navalnew[...]
2022-05-20
[4]
웹인용
Fuel Cell Propulsion of Submarines
http://www.sea.sieme[...]
2010-02-02
[5]
간행물
"[박희준의 新육도삼략] 차기잠수함 구조함 모습 드러났다"
이코노믹리뷰
2017-1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